2023. 11. 21. 18:30ㆍPortfolio Tip
디지털 마케터라면 포트폴리오에 꼭 들어가면 좋은 내용들이 있다.
콘텐츠 마케터와 퍼포먼스 마케터 둘다 동일하게
위 4가지 툴을 사용한 광고 집행 경험을 담는다면 아주 좋은 포트폴리오다.
Data Studio같은 경우는 페이스북 광고, ga, 구글 광고, 구글 스프레드시트 등 다양하게 연동이 가능해
데이터 시각화에 도움을 줌
대다수의 마케터들은 시각화 툴을 잘 다루지 못함
Data studio를 잘 다룰수 있게 된다면
포트폴리오에 큰 도움을 줌
Optimize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A/B테스트 툴
웹사이트내 버튼의 색상을 바꾸거나 사이즈를 바꾸는등
랜딩페이지를 바꾼다던지
들어오는 사람들을 랜덤으로 2집단으로 나눠서 A/B 테스트가 가능하게 함
SQL은 기업의 데이터가 축적되면 데이터를 꺼내볼 수 있음
앱서비스 회사같은 경우 사용자 데이터가 방대하기에
필수로 배워야함
채널톡은 현업에서 굉장히 많이 쓰는 CS시스템
웹푸시 시스템
웹에 진입하는 순간 과거의 행동을 기억해 후속 액션을 추적해 특정한 푸시를 보냄
장바구니 담기하고 나가면 쿠키값으로 저장이 되어 있어
다시 들어와도 장바구니에 담겨져 있음
채널톡은 그런 쿠키값을 추적해
웹푸시 알림으로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을 알려줌
혹은 쿠폰을 보내면서 장바구니 상품을 구매 촉진함
직감보다는 데이터 !
항상 실험과 결과 분석을 하고 마케팅을 진행 !
측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관리가 어렵다 그렇기에 성과 측정이 가능한 마케팅에 더욱 집중해야한다 !
(투입 대비 효율)
쪼개고 그룹핑을 해서 타겟층을 분석해 그룹들과의 특징을 찾아 살펴봐야한다 !
1. 사용방법보단 툴을 쓰는 이유와 작동원리를 아는 사람
*왜 이게 이런식으로 작동해서 이런 성과를 냈는지 아는 사람 *
2. 학습을 지속하는 사람
*끊임없이 변화하는 마케팅필드 광고 시스템 정책도 굉장히 수시로 바뀜
그렇기에 부가적인 학습이 반드시 필요함
트렌드를 따라가고 학습하는 사람
계속해서 학습하는 사람임을 강조 *
3. 기본적인 웹/앱 작동원리 및 기초적 개발언어를 이해하는 사람
* 딥한 지식보다 기초적인 개발언어를 이해하면 선호되는 인재*
4.숫자를 집요하게 분석하고 데이터 시각화해서 분석하는 사람
*시각화는 마케터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
시각화를 통해 raw데이터로는 보이지 않는 인사이트를 도출함
아직은 많은 마케터들이 자세히 다루지 못해
시각화를 잘 다룬다면 큰 강점으로 작용됨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보고서를 만들 수 있음 *
위 5가지 기준을 세워놓고
포인트를 만들어 집어넣는게 좋음
1. 가설수립은 필수 !
증명을 위한 실험
결과를 분석해 어떤 결과가 나왔고
어떻게 개선했는지 작성
2. 사용가능한 툴을 나열하기 보단
왜 이러한 툴을 사용했는지
이 툴을 통해서 우리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장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왜 페이스북,인스타 광고에 비용을 들여서 집행하는지 합리적인 근거를 들어서 설명이 가능하게 해야함
3. AARRR 관점에서 해당 기업의 퍼널 분석을 통해
해당 기업이 어떻게 마케팅 활동을 하고
어떤식으로 고객을 유입 시키며
어떤식으로 매출을 발생 시키고
어떤 고객 경로에서 리텐션을 일으키는지를
AARRR관점에서 분석을 한다면 기업이 어떤 액션을 하고있는지를 알 수 있게됨
관심있는 기업이 있다면
나는 너네회사에서 AARRR퍼널 분석을 통해 이런 이런 액션을 내가 가상으로 분석해봤는데
어떠한것들도 한번 해보고 싶다 라는 어필을 한다면
굉장히 큰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음
4. 크리에이티브보다 훨씬 중요한 현상을 분석하는 역량
크리에이티브는 디지털 마케터에게 중요한 역량이 아님
주관적이기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어떤 변수가 영향을 미쳐서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를 데이터를 통해서 확인하는 자세가 중요
5.해외 블로그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역량
미국에서 시작한 개념이 많기에 미국에서 데이터 및 자료가 많음
해외 자료, 해외 툴을 사용할 수 있기에 영어지식이 강점임
포트폴리오란?
지원자가 어떤 방식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 설명이 가능하고
지원자의 액션과 인사이트를 알 수 있음
포트폴리오는 성실함을 보여줄 수 있음
지원자의 개성과 스타일을 보여줄 수 있음
프로젝트를 그냥 설명하면 좋은 인상을 주기 어려움
한장 정도는 이 프로젝트는 왜 우리가 진행을 했으며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어떤 결과가 났고
어떠한 후속 액션으로 개선이나 성과를 냈는지 Summary(요약)을 해서 보여주는것이 굉장히 중요함
프로젝트 실시 이전에는 어떤 상태였는데 실시 이후에는 어떠한 상태로 개선이 됐다라던지 아쉽게도 개선이 어려웠다던지
실시 이후를 설명하는것이 중요함 *결과값이 나왔고 아쉬웠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전체 100%를 할 수 없기에
본인이 맡은 역할을 반드시 첨부해야함
나는 어떤 역할을 맡고 다른 팀원들과 어떻게 소통을 했고
내가 프로젝트에 기여한 부분은 몇%인지 표기
지원직무와 프로젝트간의 연계성이 높으면 가장 좋음
10개 프로젝트를 했는데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와 연계성이 있는 프로젝트를 상위에 배치
내가 지원하는 직무와 내가 했던 프로젝트가 일치하니 회사에 필요한 인재다를 어필가능
시간순서 배열x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와 연계성이 있는 순으로 배열
깔끔한 디자인
디자인적으로 훌륭할 필요는 없음
하지만 디자인은 어쩔 수 없이 판단에 영향을 미침
깔끔한 폰트, 이미지들의 정리는 눈이 한번 더 가게 만듬
많은 포트폴리오중 눈에 띄게 만들 수 있음
깔끔한 템플릿 사용도 추천
포트폴리오를 웹사이트, 노션 여러가지 형태로 만드는데
한눈에 스크롤을 쭉 내릴 수 있는 장표 형식 선호함
링크를 많이 두게된다면 면접자들이 많기에
빠르게 볼 수 있어야 하는데
면접관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기에
장표형식 추천
'Portfolio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용공고를 통해 맞춤형 포트폴리오 준비 (3) | 2023.11.21 |
---|---|
퍼포먼스 마케터의 역량 (0) | 2023.11.21 |
마케터 포트폴리오 만들기 (0) |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