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Performance Marketing 광고 매체별 UTM 매개변수 활용

2023. 10. 16. 16:35GA4

이전 게시글에서 작성했던 내용 중 Campaign term : 부산역 맛집이 있다.

어떤 키워드를 통해 유입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인데

 

 

업체에서 진행하는 키워드가 1~10건이 아닌 100~1000건이 넘는다면 

하나 하나 Campaign term에 입력하기는 쉽지 않을것이다. 

 

먼저 네이버 검색광고를 살펴보자 

허들러스 유성민 대표 강의화면

먼저 표시 URL과 연결 URL이 있는데 

 

표시URL은 

사진에 표기된 주소처럼 표시되는 URL이다 

 

연결 URL은 연결되는 주소를 말한다.

 

표시 URL에 우리 웹사이트의 주소를

연결 URL에 우리가 만든 UTM을 활용해서 입력해 광고를 진행한다면

고객들이 키워드를 검색하여 검색광고에 있는 우리 웹사이트의 주소를 클릭하고 

우리는 어떤 키워드로 고객이 유입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된다. 

 

여기서 아까 말한 utm_term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많을 경우 

utm_term={query} 를 사용한다 

{query}는 네이버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이다. 

 

utm_term={query}를 사용하게 된다면 고객들이 어떤 광고를 검색해서 누르면 자동으로 쿼리값이 변경된다.  

 

이러한 작업들은 치환변수 혹은 동적변수, 다이나믹 변수라고 부른다

 

utm_term에 있는 벨류값인 쿼리는 사용자의 검색어에 맞게 동적으로 변한다 해서 동적변수

영어로는 다이나믹 파라미터라고 부른다. 

 

카카오나 네이버에서는 제공되는 다이나믹 파라미터가 있다.

 

페이스북 광고를 살펴보자 

 

실제로 진행되는 광고들은 많은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럴때 Campaign content에 imageA , imageB를 기입하는것은 노가다이다. 

 

이럴떄 URL 매개변수 만들기에서 

캠페인 소스와 매체 그리고 이름을 기입 한 후 

캠페인 콘텐츠에 {{ad.name}}을 넣어준다면 왼쪽 상단에 제작중인 광고 이름인 허들러스_이미지a가 자동적으로 들어갈 것이다. 

그리고 복제를 한 후 매개변수도 동일하게 설정해 이미지b광고도 진행한다면 

 

이미지a를 보고 들어왔다면 {{ad.name}}에  허들러스_이미지a가 기입될것이고 

이미지b를 보고 들어왔다면 {{ad.name}}에  허들러스_이미지b가 기입될것이다. 

 

네이버의 매개변수 = {query}

페이스북의 매개변수 ={{ad.name}}

카카오의 매개변수 = {k_qu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