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Performance Marketing UTM 활용

2023. 10. 16. 15:56GA4

웹사이트의 유입 경로는 여러가지 유입 경로가 있다.

 

예를들어 구글 cpc, 구글 오가닉, 다이렉트 논 등 다양하게 있는데 

 

우리는 다이렉트 논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다이렉트 논은 어떤 경로로 들어왔는지 파악하기가 쉽지않다.

 

만약 우리 웹사이트에서 다이렉트 논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면 이것을 줄여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다이렉트 논은 어디서 들어오는지 모르기에 검색광고의 비중을 어디에 둬야하는지, 내가 사용하는 마케팅 매체가 어떠한 효과를 내는지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것을 줄여주는 역할로 UTM을 사용한다. 

 

 

 

UTM 사용

 

 먼저 구글 검색에 "url builder" 를 검색해주자

 

해당 사이트에 들어간 후 

 

정보를 기입해줘야한다 

*가 있는 칸은 필수 기입란이다 

맨 첫 상단 website URL에는 나의 웹사이트 주소를 적어준다.

 

세번째 줄 campaign soruce는 유입 경로를 말한다. 

구글 검색광고를 하고싶다면 해당란에 google을 적어주면 된다. 

 

네번째 줄 campaign medium은 매체를 말한다.

광고매체를 적어주면된다. 

검색 광고라면 cpc를 기입해주자 

 

tip) 검색광고는 = CPC (Cost per Click), paidSearch

      배너광고는 = CPM (Cost per impression), display, banner 

      페이스북 광고는 = meta / paidSocial

 

나의 경우에는 soruce에 kakao medium에 message를 적었는데 그렇게 되면

 

google/cpc 부분에 kakao/message가 나올것이다. 

 

 

다음으로 campaign name이 있다.

캠페인 네임은 내가 진행하고자 하는 마케팅 프로젝트 이름을 기입하면된다.

ex) summer_campaign

 

이제 URL을 만들어주자 

 

아래에 주소를 복사 한 후 GA Debug를 on( 티스토리는 디버그를 켜줘야함) 으로 바꿔준 후 주소창에 입력하면 

애널리틱스 디버그 뷰에 kakao 소스로 들어온 페이지뷰가 보일것이다.  

 

 

https://asher-jw.tistory.com/?utm_source=kakao&utm_medium=message&utm_campaign=summer_campaign

 

Asher

 

asher-jw.tistory.com

 

utm을 사용함으로써 주소창에 다이렉트로 입력해도 다이렉트로 표기되지않고 카카오/메세지로 표기된다. 

 

후에 트래픽획득으로 카카오/메세지를 통해 들어온 유저수와 구매까지의 전환율 등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카카오를 이용한 광고활용에 어떤 포지션을 취해야 할지 알 수 있게된다.

 

UTM의 추가 매개변수

 

 

URL Builder에서 기입하지 않은 항목인 campaign term과 campaign content가 있다. 

 

먼저 campaign content를 알아보자. 

 

나는 카카오 메세지를 활용한 광고를 진행중이다. 

 

하지만 카카오 메세지 광고도 여러건이 있을것이다. 

1번 메세지 광고도 있을것이고, 2번 메세지 광고도 있을것이다.

 

campaign content를 표기하지 않는다면 어떤 광고로 고객들이 유입됐는지 알수가 없다. 

1번 메세지 광고보다 2번 메세지가 효율이 좋다면 그 광고가 어떤식으로 고객의 니즈를 끌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데

campaign content가 공백이면 파악하기 어렵다. 

 

ex) campaign content = 20231016_messageA 

                                   = 20231016_imageA

 

캠페인 콘텐츠를 확인하는 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보조측정기준을 눌러 트래픽소스 > 세션 수동 광고 콘텐츠를 눌러주자

데모 계정으로 확인했을때 

2023년 April에 뉴스레터로 진행한 이메일 광고는  Recycled_Organic_Heather_Forest_Tee의 내용이 있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campaign term

campaign term이란? 

 

예를들어 내가 네이버 cpc를 진행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네이버에 부산역 맛집을 검색하면 

 

상호명 옆에 광고 딱지가 붙은 업체가 보일것이다. 

 

하지만 이 업체들은 "부산역 맛집" 이라는 키워드에만 광고를 진행하지 않을것이다. 

"부산역 회식", "부산역 꼼장어" 등 다양한 키워드를 진행할텐데 

그것을 식별하기 위해 우리는 campaign term을 활용한다 

 

campaign term에 "부산역 맛집" 이라는 키워드를 넣고 utm을 생성한다면 

 

애널리틱스 > 트래픽획득 > 보조측정기준 > 세션 수동 검색어로 어떤 키워드로 고객들이 몇명이 방문했는지, 구매 전환율이 높은지 알 수 있게된다.

 

이를 통해  어떤 검색어가 유입이 많고 구매율이 높은지 알 수 있을것이고 이를 통해 그 검색어에 대한 광고 비중을 높일 수 있을것이다.